박쥐나방 동충하초의 효능성분 다당류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동충하초는 문헌상으로는 1082년 증류본초의 선화(蟬花) 즉 매미 꽃이며 1757년 오의락(吳儀洛)의 본초종신(本草從新)에 기록이 있다. 1892년 M. C. Cooke에 의해 Vegetable wasps and plant worm을 출판되었고 1983 코바야시 요시오(小林義雄)선생이 동충하초균도를 발행하였다.
○ 한국에서는 1996년 성재모교수가 한국의 동충하초를 출판한바 있고 여기에 기록된 동충하초의 분류는 형태적이었으나 2007년에는 형태에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분류하여 동충하초의 분류체계를 확립하였는데 박쥐나방 동충하초에 Ophiocordyceps sinensis란 학명을 붙인 사람이 한국인이다.
○ 불로장생의 묘약으로 알려진 것은 기원전 1,0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 왕과 제후의 무덤에서 동충하초와 같은 옥돌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중국 고대의 은상시대로 부터인 것으로 추정되며 동양에서는 인삼 녹용과 함께 3대 명약으로 알려져 왔다.
○ 다당류는 박쥐나방 동충하초의 생리활성 성분이지만 천연의 자실체-애벌레 복합체는 매우 희귀하고 비싸기 때문에 이 균종에서 지난 15-20년 이상 입증된 다당류로는 대부분 세포 내 다당류는 재배 버섯의 균사에서 세포외 다당류는 균사 발효액에서 추출 하였다.
○ 다당류의 캐릭터리제이션(characterization)은 종래의 정성 분석이 시료를 기지물질과 비교하여 확인하는 동정방법(identification)이었던 것과 대비시료의 제반 성질을 조사하여 기기분석방법을 보조수단으로 사용 다른 물질과 비교하지 않고 분자구조 기타의 본질을 특정 하는 방법을 말한다.
○ 이 논문은 박쥐나방 동충하초의 균사 발효에서 다양한 세포 내외 다당류의 생산, 추출, 구조 및 생물 활성 등 다양한 측면의 가장 최근의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하여 기능성식품과 약제에서 이들 다당류의 심도 있는 연구와 생산 그리고 활용에 유용한 문헌으로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 저자
- Jing-Kun Yan, Wen-Qiang Wang, Jian-Yong W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6()
- 잡지명
- Journal of Functional Fo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3~47
- 분석자
- 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