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내생식물에서 생물활성 대사물질 탐색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내생식물(endophytes)은 식물조직에서 증상을 없이 살라가는 미생물로써 이 미생물의 대사물질에 대한 생물학적인 작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endophytes가 숙주에 미치는 영향이나 역할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고 endophytes의 대사물질을 치료제로 이용하고 농업과 산업계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이 리뷰에서는 endophytes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물론 이들 미생물의 생성물질이 항암제, 항생제, 항산화제로써의 중요성에 초점을 검토하고 있다. 식물과 endophytes의 관계, endophytes 미생물의 다양성, 그 분포, 그리고 생물학적인 활성물질에 대한 다양성과 약물계발의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다.
○ Endophytic 미생물은 모든 식물 안에 있으며 다만 아직은 국내 식물에 내생식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많지가 않다. 지역적인 차이나 숙주 조직에 특이성과 조성분의 다양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앞에서 말한 생활성물질들은 endophyte 다양성에 일부에 지나지 않고 균류의 분리와 배양 그리고 시퀀싱기술의 적용으로 천연물의 분리와 특성을 확인할 뿐 아니라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미국의 Adaptive Symbiotic Technologies 같은 회사는 endophytes의 대사물을 대상으로 식물의 증산과 기능성물질에 대한 연구개발로 성장하고 있다.
○ 우리는 이미 식물에 기생하는 많은 생물에서 대사물질들을 얻어 약제와 사업용으로 활용하고 있고 그 특성이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다. 토종의 내생 미생물이 생산하는 새로운 물질이 사람의 약이나 농업과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높아 보인다.
- 저자
- Ruby Jalgaonwala, Raghunath Mahaj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3(6)
- 잡지명
- Global Journal of Research on Medicinal Plants & Indigenous Medic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63~277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