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전통된장 저장 중의 향기품질 평가

전문가 제언

콩 발효제품인 된장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조미료(향미제)로 널리 사용된다. 우리나라의 된장은 간장, 청국장과 함께 콩을 주원료로 한 발효식품으로 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이 확인되어 식품학적으로 그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속 모델(40℃, 28일)을 사용하여 저장기간 동안 15개의 핵심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28일 저장 후 향기성분 중 alcohol과 aldehyde 함량은 각각 35%, 26% 감소하였고 acid, ester, heterocycle 함량은 각각 130%, 242%, 15% 증가하였다. 전반적인 냄새는 꽃향기에서 볶은 향기로 변화되었다. 주성분분석 결과 된장 수명은 꽃냄새, 구운 냄새, 톡 쏘는 자극적인 냄새의 3기간으로 구별할 수 있었다.

 

된장의 맛과 향기는 유통기간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하다. 최근 국내에서는 전통된장의 숙성기간에 따른 감각?화학적 품질특성(구경형 등 2014)을 비롯해서 콩 koji로 만든 된장의 품질특성(김도윤?권동진 2014), 공장발효 된장의 1차 및 2차 대사산물 프로파일(Lee 등 2014), 메주 배합 비를 달리한 밀 된장 품질특성(이경란 등 2013) 등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신묘란과 주광지(1999)는 순 된장과 시판된장에서 공통으로 동정된 향기성분으로 alcohol류 3종, aldehyde 5종, ester 11종, furan 2종을 발표하였고, 지원대 등(1992)은 재래식 메주와 개량식 메주로 만든 각 된장의 휘발성 향기성분과 공동으로 존재하는 향기성분으로 10가지 성분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된장의 저장 중 향기성분 변화나 향기성분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발표된 바 없다.

 

된장은 원료(콩, 밀), 메주형태, Koji균 사용 여부, 제조공정(온도, 소금농도) 등 제조방법에 따라 제품의 맛과 향기가 다르다. 따라서 된장의 품질을 유지하고 보증할 수 있는 제조방법의 표준화가 가장 중요하다. 앞으로 전통 발효식품을 대량생산, 공급하기 위해서 제품의 향미와 기능성은 물론 표준화된 제조공정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Xingyun Peng, Xin Li, Xiaodi Shi, Shuntang Gu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151()
잡지명
Foo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32~538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