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연제를 함유한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일반적으로 구조용 접착제는 볼트, 리벳, 용접과 같은 종래의 접합기술을 대체 또는 보강할 수 있는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구조용 접착제가 자동차나 전자기기 등의 조립 공정에서 경량화나 작업의 간편성을 살려 기존의 용접방식을 대체하거나 용접이 불가능한 부분에의 이용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 이 발명은 항공기 등의 손상된 플라스틱 내장재를 보수하는데 적합한 2성분계(2액형) 접착제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1 성분인 고분자수지는 아크릴수지이며, 제2 성분은 아크릴 모노머와 같은 경화제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알킬 프탈레이트와 같은 탄성체, 칼륨염 등의 난연제, 알루미나 수화물 등이 첨가된다.
○ 이 발명에서 사용된 난연제는 비할로겐계 화합물이므로 독성, 생체 축적 및 리사이클 등과 같은 환경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없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기술은 심사보고서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신규성이 떨어지므로 특허권의 저촉여부가 일어날 소지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 아크릴계 접착제는 높은 고형물 함유량, 적은 휘발성 유기물 함유량, 자외선 및 열 안정성, 빠른 도포 속도 등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테이프 및 라벨 산업 등에서 플렉시블 소재의 접합용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국내 아크릴수지계 에멀션의 점착 및 접착제 용도로는 주로 점착테이프, 라벨 등에 대량 사용되고 있지만 접착제의 고기능화에 의한 용도의 확대가 요구된다.
○ 접착제는 그 자체가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 아니라 다양한 제품을 완성하기 위한 각종 부자재의 접합 및 조립하는 보조제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최근 각종 조립공정의 간편화와 최종제품의 복합기능화, 경량화 및 환경규제강화 등의 추세에 따라 향후의 접착제 개발방향은 환경친화적이면서 양호한 작업성을 추구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적용 가능한 분야를 넓힐 수 있는 접착제의 연구, 즉 기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접합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고기능성 접착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Bower Aero Pty Lt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21341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8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