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입자 보강에 의한 AZ31 합금의 고온 성형성 향상

전문가 제언

최근 마그네슘 합금이 자동차 부품용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hcp 결정구조 때문에 성형성이 불량하여 더 광범위한 응용이 제한되고 있다. 쌍정 집합조직과 금속간화합물(예: Mg17Al12)의 존재로 인한 성형성 악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350℃ 이상에서의 열간가공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AZ31 마그네슘 합금에 나노사이즈 알루미나와 탄소나노튜브(CNT) 보강재를 소량 첨가하여 고온 성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나노 알루미나(1.5vol%)와 CNT(1vol%)로 보강한 AZ31 합금은 25~250℃ 범위에서 항복강도와 연성의 현저한 증가와 유동응력의 감소를 보였고, 시편의 파단면은 연성파괴의 특징을 보였다. 고온인장의 경우 둘 모두 150℃에서 동적 재결정이 완료와 금속간화합물의 소멸이 관찰되었다. 통상적인 AZ31 합금의 경우 같은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360℃ 이상이 필요한 것에 비하면 이것은 괄목할 만한 성과이다. 알루미나가 CNT보다 더 큰 결정립/금속간화합물 미세화 효과를 보였고, 유동응력 감소에도 더 효과적이었다.

 

해외에서는 마그네슘 합금 기지에 나노입자를 분산시켜 Orowan 강화와 결정립 미세화 효과를 얻으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것은 상온에서의 기계적 성질, 고온 성형성, 크리프 내성의 향상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DMD(Disintegrated Melt Deposition)법이 이용되었지만, 나노보강재인 SiC, Al2O3, Y2O3, SiO2, CNT 등을 기지에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의 개발도 중요하기 때문에 이 분야의 연구도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경상대 연구팀이 2010년과 2014년에 각각 한 편씩 CNT/AZ31 복합재료에 대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모재와 CNT의 혼합 분산에는 기계적 합금법이 이용되었다. 지금까지의 해외 연구결과로 보아 마그네슘 합금의 기계적 성질과 고온 성형성의 개선은 물론 열간가공 온도를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분야 연구는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국내의 연구도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Syed Fida Hassan, Muralidharan Paramsothy, Bekir Sami Yilbas, Manoj Gupt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29(11)
잡지명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264~1269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