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칡뿌리 활성성분 Puerarin의 약리적 효과

전문가 제언

 

칡의 중요 생물 활성 성분인 Puerarin은 일반 식품에서 구할 수가 있고, 대체 의약으로 사용된다. 혈관 이완, 심장 보호, 신경 보호, 항산화, 항암, 항염증, 통증 완화, 뼈의 형성, 술 섭취의 억제와 인슈린 저항성 감소 등의 넓은 범위의 약리적 효과가 있다. 그것은 치석 예방과 부정맥, 당뇨와 당뇨 합병증, 파키산 병, 치매, 벼 괴사, 고지혈증, 자궁내막염과 암 등 여러 질병 치료에 사용될 것이라고 제시한다.

 

어떻던 Puerarin을 임상에 개발하는데 앞으로 많은 연구가 요구 된다. Puerarin의 어떤 약리적 성격을 규명하는 분자 기작과 표적이 알려지지 않은 것이 많다. 용해성이 낮고, 섭취 율이 저조하고, puerarin의 반감기가 짧은 것이 앞으로 임상에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추가하여 puerarin의 부작용이 보고되었고, 예로서 puerarin (5와 10 uM)은 생쥐의 태아 발달과 생존에 영향을 주고, 그것의 주사는 임상적으로 용혈을 유도한다. 분자적 기작과 표적의 개발, 섭취 이용도 증가와 부작용 감소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에서 많이 연구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도 관심이 증대하여, 식품연구원의 김윤태 박사팀이 칡에서 추출한 puerarin을 함유한 이소프라본이 국소빈혈의 생체 모델에서 뇌의 경색을 감소하고, 국소빈혈에 의한 COX-2 상향 조정된 발현과 성상세포의 발현을 낮추어 준다. 충남대학 정혜광 교수 팀이 puerarin에 의한 eNOX 활성에 대한 기작을 밝혔다. Puerarin-유도 eNOX 인산화와 NO 생산의 촉진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중재 PI3/Akt 신호와 AMPK와 CaMKll (calcium/calmodulin-의존) 통로에 의하여 작용한다.

 

고려 대학 이성준 교수팀은 난소 제거 생쥐에서 이소프라본은 폐경에 의한 중성 지방과 골다공증을 감소하고, 세포 실험에서 부경대 최재수 교수팀은 칡뿌리 추출물의 항-염증과 항산화 작용을 밝혔다. 이런 동물과 세포 실험에 이어 임상에 적용할 더 많은 실험과 정확한 기작이 요구되고 또한 부작용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저자
Zhou, Y-X.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8()
잡지명
Phytotherapy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961~975
분석자
정*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