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방향성과 약리활성을 나타내는 Agastache속 식물의 식물화학과 생물활성

전문가 제언

이런 발견으로 동아시아 전통적 의약에서 배초향(한국 박하)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이런 현상이 다른 지역으로 보급될 것을 기대한다. 두 개의 미국 종은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 식물의약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가공하지 않은 약, 순수 분리된 부분과 개개의 물질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각 성분의 약효와 기작을 규명하여야 하고, 이런 것과 함께 상호 간의 보완으로 전통의약에서 사용하는 여러 약초 복합효능을 이해하는 데 근거가 될 것이다.

 

많은 장식용에 있는 유전적 다양성이 어떻게 식물화학과 약리적 성질에 영향을 주는지는 한 예로서 A. mexicana종 경우를 확장할 수가 있다. 정유 구성의 다양성과 수확은 합당한 질적 관리와 표준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런 과정은 비휘발성 물질인 tilianin과 다른 플라본 물질, 페놀산, diterpenoids, triterpenoids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Ursolic산 외에는 생물활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앞으로 다른 물질에 대한 연구 필요하다. 이런 물질 중에 곡식 저장에 보호제로서 전망이 밝다. 앞으로 Agastache에 관련된 생물활성과 식물화학에 다양한 많은 연구 성과가 있을 것을 기대한다.

 

충남대학교 박상은 교수팀은 한국 박하에서 tilianin과 RA의 축적과 phenypropanoid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밝히고, 특히 세포배양에서 methyl jasmonate를 처리하였을 때 phenylpropanoid 생합성이 증가하고 RA 생산이 몇 배로 증가하였다. 경상대학교 장기철 교수팀은 한국 박하의 잎 추출물이 heme-oxygenase-1을 유도하여 항산화작용을 하고, NO-중재 염증 반응에 유익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덕성여자대학교 신 교수팀은 이 박하 식물의 필수지방산은 항균사체 작용이 있다고 밝히는 등 여러 기관에서 비교적 활발한 연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저자
Zielinska, S. and A. Matkows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3()
잡지명
Phytochemist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91~416
분석자
정*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