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크용접의 진화에 따른 용접생산 효율화

전문가 제언

개량형 인버터기술을 채택한 최근의 용접전원장치는 60여개에 이르는 용접공정변수들과 연관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용접시스템에서 나타나는 평형 제어와 주파수가 향상되었으며, 이에 따라 현장의 용접사는 AC 가스텅스텐 아크용접작업을 할 때 전통적인 직사각형파의 아크로부터 집중된 아크형태로 바꿀 수 있고 아크를 매우 안정적이고 집중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빠르고 일관되게 용접공정변수들을 설정하여 정확하게 용접시공을 실시할 수 있다.

 

로봇을 이용하는 자동화 용접시스템은 수동용접에서 필요한 상당양의 용접기법과 반복적인 행동을 로봇이 취급하기 때문에 용접경력이 짧은 기술자도 로봇 용접장치의 작동하는 요령을 쉽게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생산시스템의 유연성과 융통성을 갖춘 프로그래밍, 용접전원 공급장치와 로봇 팔 및 위치 조정장비 사이에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디지털 통신기능에 의해 거의 모든 크기의 용접대상물의 제작과 관련된 경제적인 타당성과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철강재료의 용접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CO2 아크용접은 용융금속의 자유 용적이행 영역에서 용접할 때 다량의 스패터가 발생하여 용접부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스패터 제거를 위한 추가 작업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아크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음극점 위치만 안정화할 수 있는 음극점 제어기술과 희토류 합금원소를 와이어에 첨가하여 아크의 집중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여 자동화용접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용접기분야는 높은 수준의 국내 IT 기술을 활용하여 향후 용접기와 로봇의 개발에 있어서 전자부품의 진보 등에 의해 용접기의 고성능화, 파형측정기와 고속도 비디오 장치의 사용에 의한 용접현상의 관찰, 용접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신경망의 적용, 그리고 용접비드 표면의 돌기(humping bead), 용접토우부의 언더컷 등과 같은 용접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용접품질을 제어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中? 徹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62(6)
잡지명
溶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2~46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