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식용 말고기의 Sarcocystis fayeri 오염 실태조사

전문가 제언

말고기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과 오메가 3 지방산이 다른 육류에 비해 2~3배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도 말고기에 대해 금기시하는 문화가 남아있어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말고기가 육회 등으로 소비되고 있다. 내륙지역에서도 최근 말고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전문 식당 또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일본 전역에서 식후 수시간 지나 구토와 설사를 일으키고 경증으로 끝난 원인 불명의 식중독이 발생하여 조사한 결과 말의 근육 중에 기생하는 포자충의 일종인 Sarcocystis fayeri가 식중독의 원인으로 밝혀졌다.

 

Sarcocystis fayeri의 감염 경로는 개가 이 기생충에 감염하여 배설물 속에 기생충을 배출하면 말이 이 배설물에 오염된 사료와 음료수 등을 먹음으로써 감염된다. 말의 몸속에서는 근육에 기생하기 때문에 이 기생충에 감염된 말의 고기를 먹은 개가 다시 감염된다. 말고기를 중심온도 -20℃로 48시간 이상 냉동 처리하면 식중독을 막을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의하면 2012년 기준 1,912농가에서 29,698마리의 말을 사육하고 있고, 말 도축 두수는 2002년 209두에서 2012년에는 881두로 증가하였다. 말고기 산업의 현재와 미래(2009년)에서 민가의 추렴에 의한 도축까지 포함하면 실제 도축 두수는 연간 1,500두 이상으로 추정되며, 말고기 소비의 대부분은 제주지역의 50여 개 전문식당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제주지방을 중심으로 말고기 육회를 먹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와 식생활이 유사한 일본의 식중독 사례를 보아 Sarcocystis fayeri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본다.

저자
Murata Yosuke et.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64(6)
잡지명
食品衛生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9~34
분석자
이*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