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튬이온 이차전지 애노드용 Si/C 하이브리드 나노구조 연구동향

전문가 제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현존하는 이차전지 가운데 가장 에너지밀도가 높은 이차전지이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노트북PC 등의 여러 휴대형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고 환경과 에너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이브리드자동차, 배터리전기자동차, 스마트그리드의 축전장치 및 재난시의 후비전원으로도 시장이 확대되어 가고 있으나 기기의 작동시간이나 이동체의 항속거리 연장을 위한 고용량의 이차전지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현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주된 애노드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카본(흑연)은 이의 이론적 비질량 에너지용량인 372mAh/g에 가까운 용량으로 사용하고 있어 이 보다 큰 이론용량을 갖는 Al, Sn, Sb 및 Si 등 새로운 애노드 재료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촉망받으며 개발되고 있는 것이 실리콘기반 애노드이다.

 

카본에 비하여 약 10배 이상의 용량증대를 실현시켜줄 수 있는 실리콘은 충반전에 수반되는 300%의 수축팽창으로 균열과 미분화가 진행되어 SEI의 기계적 건전성상실과 LiPF6 등의 전해질과의 공존성 등에서 어려움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실리콘 기반 애노드를 실리콘/카본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의 연구로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개발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다공질 실리콘을 사용한 애노드개발은 한양대학교의 조재필 교수팀, 실리콘의 LiPF6과의 공존성 문제를 세계 최초로 밝힌 것은 삼성SDI의 최완욱 팀이다. 서울대의 오규환교수팀은 적절한 바인더의 채용으로 음극두께변화를 14.3%로 저감시킬 수 있음을 밝히고 울산과기원의 박수진교수팀은 Si/Al2O3 복합 애노드를 개발하여 사이클 특성이 비교적 양호함을 밝히고 있다. 리튬이온이차전지의 최대 공급국으로의 면모를 우리나라는 갖추고 있다.

 

Si합금의 석출이나 부식으로 생성된 나노급의 다공질 실리콘은 반복되는 팽창/수축 사이클에서 비교적 체적 변화가 작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다공질 카본과의 하이브리드화도 한번 시도해 볼만하다고 본다.

저자
M. M. Terranov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246()
잡지명
Journal of Power Sour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67~177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