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계적 합금법으로 조제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용 Sn계 합금

전문가 제언

장수명 고용량의 이차전지 연구개발의 주요 거점 가운데 하나인 일본 수도대학 Tokyo대학원의 K. Kanamura 교수팀이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현행 그라파이트 기반 음극재료보다 큰 용량을 실현해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차세대 음극소재인 주석(Sn)의 가능성을 기계적 합금법 과 결정격자의 미소화 및 비정질화로 실용화의 장애요인이었던 성능열화와 수명단축을 개선하고자 한 보고서이다.

 

현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주된 음극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카본(흑연)은 이의 이론적 비질량 에너지용량인 372mAh/g에 가까운 용량으로 사용하고 있어 이보다 큰 이론용량을 갖는 Al, Sn, Sb 및 Si 등 새로운 음극재료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촉망받으며 개발되고 있는 것이 실리콘기반 음극이지만 K. Kanamura팀은 Sn의 가능성을 타진한 것이다. 비질량 에너지용량은 Si의 4200mAh/g의 1/3에 불과한 994mAh/g이기 때문에 충방전 시 리튬이온의 삽입과 탈리에 수반되는 체적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어 실용화에 보다 가까운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비정질 실리콘이 리튬이온 삽입과 탈리 시의 체적팽창이 적다는 서울대 손성범, KIST 김기범 및 콜로라도대 이세희팀의 연구를 Sn에서 응용하고 있고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나노급 단결정과 다공질화, 비정질화를 저비용으로 실용화할 수 있는 양산기술 개발이 국제경쟁력의 비교우위 확보에 관건이 된다.

 

Sn의 합금과 전이금속 첨가로 많은 가능성을 찾아냈으나 Si를 사용한 음극기술이 많은 축적이 있어 유망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국제경쟁 또한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적절한 선택과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충반전에 따르는 리튬이온 삽입/탈리 과정의 제자리관측기술 등 궁극적인 요소과정을 파악하고 수행하는 기술개발이 가장 과학기술적인 접근법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S. Kawakami & K. Kanamu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82(6)
잡지명
電氣化學および工業物理化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67~473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