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등급 약물 개발: 기원과 진화식

전문가 제언

1999년부터 2008년, 10년 동안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승인된 일등급신약의 기원을 분석했다. 일등급약은 표적이나 생물학적인 경로에서 이전에는 조절할 수 없었던 약으로, 문헌과 특허에서 분자의 화학적 구조와 작용 메커니즘, 관련된 화학형, 치료 가설, 최종지시(final indication), 발명의 방법과 기술에 따른 작은 분자약이다.

 

이러한 약의 발명은 주로 표적에 기초한 방법(target-based approach)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표현형 스크리닝(phenotypic screening) 전략이 오히려 더 생산적으로 나타났다. 표현형 스크리닝은 대체로 무작위하게 선정해서 체계적인 분석으로 대량으로 검사하는 방법이고 표적에 기초한 방법은 가설에 기초해 약리적으로 조절하는 구체적인 물질, 효소, 수용체와 같은 표적에 의한 생물학적인 시스템을 조정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표적에 기초한 방법도 비교적 최근에 소개된 방법으로 약물개발이 시간적으로 오래 걸리는 면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방법이 크게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저자들이 10년 동안 FDA 승인된 113개의 일등급약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 78개가 표적에 기초한 방법(78)으로 발명되었고 이중 45개는 작은 분자약이고 다른 33개는 생물제제(biologics)였다. 표적에 기초한 방법에서도 천연물질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제약업계에 연구개발비는 계속 상승되고 있으며, 지난 60년 동안 약물이 시장에 나오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을 조정하고도 매 9년마다 비용이 2배로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한 추세가 계속되고 있고 있으나 생산성과 효율은 거기에 미치지 못한다. 국내 실정은 더욱 심각한 실정으로 최근에 제약업계가 표적에 기초한 방법으로 시도는 하고 있지만 성과는 거의 없고 표현형 스크리닝은 원래 경험이나 기술이 없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기초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스템에 기초한 약물개발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자
Jorg Eder, Richard Sedrani and Christian Wiesman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3()
잡지명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77~587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