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간장의 디펩티드와 맛의 상관관계 분석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간장은 한국, 일본, 중국을 비롯해서 동남아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미료의 하나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특히 한국간장은 식품 공정상 재래식간장, 양조간장, 산 또는 효소분해간장, 혼합간장으로 분류된다. 간장은 짠맛, 단맛, 신맛, 쓴맛, 감칠맛과 다양한 향기가 조화되어 독특한 풍미를 갖는다. 간장의 맛과 향기성분은 주로 일본, 한국, 중국에서 연구되고 있다.

 

간장중의 성분과 맛의 관계를 특성화 하는 것은 간장의 품질을 평가하고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간장의 맛과 관련되는 디펩티드와 맛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우선 LC/MS/MS방법으로 237개의 디펩티드를 검출하였고 VIP(변수 중요도 척도) 점수를 사용하여 디펩티드와 맛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Ile-Gln, Pro-Lys, Ile-Glu, Thr-Phe, Leu-Gln은 달콤한 맛에 VIP점수가 높았다.

 

국내에서는 1980년 한국재래식 간장의 맛 성분에 관한 연구(김종규, 김창식)를 비롯해서 메주와 담금 용기에 따른 전통간장(박옥진 등 1996, 손경희 등 1998), 보리등겨로 제조한 간장(손동화 등 2002, 이은정 등 2002, 이석일 2002)의 맛 성분과 비지 Koji 첨가에 따른 양조간장(송영철, 이삼빈 2013)의 이화학적 특성이 보고되었다. 국내 간장의 맛 성분은 총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 핵산관련물질, 유리아미노산, 유리당류, 유기산 등이다. 그러나 간장의 디펩티드의 맛 성분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간장은 사용원료와 제조방법에 따라 맛과 색, 향기, 풍미가 다양하다. 간장 제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콩 품종과 메주의 형태, 콩 이외의 곡물의 첨가 및 첨가량, 메주코지용 종균의 종류 및 발효조건, 소금의 종류 및 농도 등 생산 공정의 표준화이다. 간장성분의 정량분석과 관능검사를 위한 표준방법의 확립은 물론 다양한 성분의 조합에 따른 품질특성을 평가하는 모델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 전통간장은 발효와 관련된 균주의 출처와 종류에 따른 간장 맛 관련 연구가 추진되었으면 한다.

저자
Shinya Yamamot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118(1)
잡지명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6~63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