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그네슘 합금의 항복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전문가 제언

마그네슘 합금의 기계적 성질에 기여하는 인자들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σy = σ0 + kyd-1/2로 표시되는 Hall-Petch 관계식은 단순히 항복강도 σy와 결정립도 d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험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 식을 구성하는 마찰응력 σ0, 결정립도 d, 비례상수 ky를 이론적으로 분해하여 각각에 물리적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들을 다시 수식으로 재조합하여 새로운 항복강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보편적 모델은 이원합금은 물론 다원 마그네슘 합금의 항복강도 예측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함이 입증되었다.

 

상기 모델에서는 마찰응력 σ0를 3개 인자(임계분해 전단응력, 가공열처리, 용질원소)로 분해하여 다루며, 그중 용질원소는 Mg 원소와의 크기 및 탄성률 차이로 인한 응력 발생에 기여한다. 용질원소는 또 조성과랭을 통하여 핵생성과 성장에 관여하므로 결정립도 d에 영향을 준다. 결정립 미세화에 따른 의 변화율을 대변하는 입계강화계수 ky는 전단탄성률 μ와 Burgers벡터 b에 의존한다. 즉, 상기 모델은 이와 같이 각 요소들의 항복강도에 대한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계산한다.

 

세계적으로 새로운 합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EC가 지원하는 ACCMET(Accelerated Metallurgy) 프로젝트는 다양한 원리의 조합에 의하여 새로운 합금조성의 발견을 촉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동기가 된 것은 가능한 모든 삼원합금들 중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것이 10%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다. 본고의 항복강도 모델은 마그네슘과 합금을 이루는 여러 원소들의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합금의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는 합금조성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의 기계적 성질 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는 있지만, 이론적 모델링에 대한 연구는 없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새로운 합금의 개발 과정에서 정량적 모델에 의해 그 성질의 이론적 예측이 가능하다면, 시행착오적 실험에 의한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피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방면의 연구에도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저자
Isaac Toda-Caraballo, Enrique I. Galindo-Nava, Pedro E.J. Rivera-Diaz-del-Castill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75()
잡지명
Acta Materialia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87~296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