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가스 재순환장치를 활용한 직접분사 가솔린엔진의 성능향상기술
- 전문가 제언
-
○ 배기가스 재순환(EGR)시스템은 질소 산화물(NOx)의 배출을 줄이는 기술로 발달 도입되었으나, 동시에 성능개선 효과도 가져오도록 새로이 연구 되고 있다. 가솔린 엔진에서는 비활성 배기가스가 실린더 내의 연소 물질을 대체하며, 디젤엔진의 경우에는 예비 연소 혼합물의 잉여 산소를 대체하고 있다.
○ 배기가스 재순환은 배출가스를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배기가스의 CO2나 H2O 같은 불활성 가스를 흡입 공기의 일부와 치환 혼합되어 열용량이 증대되고 실린더 내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NOx를 감소시킨다.
○ 단순히 EGR, 압력비, 승압 효과의 결과를 목표로 연구하는 것 보다 이들이 사이클에 어떠한 영향으로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여, 효과와 사이클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성능 목표만이 추구 대상이 아니고 학문적 연구도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1960년대 이후부터 EGR이 전기 점화 엔진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었으며, 1973년에 Chrysler 회사가 “Coolant Controlled Exhaust Gas Recirculation" 시스템을 개발 하여 적용하였다. 그 외에도 EGR은 여러 나라에서 적용되어, Ford Edge자동차, 스웨덴의 Saab H 엔진이 Saab 90에 적용되었고, Euro 버스, 호주 등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EGR 시스템은 일부 대형 버스 즉, 현대, 기아의 파워텍 엔진에, 대우의 커민스 엔진에 적용되고 있으며, 학계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날로 증대되는 오염 문제의 해결과 함께 성능 개선 차원에서 계속하여 많은 연구가 요구되는 분야이다.
- 저자
- Mingzhang Pa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64()
- 잡지명
- Applied Thermal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91~498
- 분석자
- 이*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