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전통간장에서 미량 Aflatoxin B1의 신속한 전처리 및 검출방법

전문가 제언

Aflatoxin은 Asp. flavus, Asp. parasiticus, Asp. nomious 등의 Aspergillus속 곰팡이가 생산하는 독소(2차 대사산물)로 현재까지 밝혀진 aflatoxin은 B1, B2, G1, G2 등 20여 종이 있다. Aflatoxin은 종에 따라 감수성에 차이가 있으며 사람을 비롯하여 동물의 발암인자로 알려져 있다. Aflatoxin B1(AFB1)은 발생빈도와 독성 측면에서 가장 위해도가 높다.

 

AFB1은 주로 농산물의 수확과 저장 중에 곰팡이의 오염으로 생산된다. 유럽연합은 땅콩, 견과류, 건과일, 곡류, 가공식품의 총 aflatoxin 함량은 10μg/kg, AFB1은 5μg/kg으로 규제하고 미국 FDA는 총 aflatoxin 함량을 20μg/kg으로 규제하고 있다. 국제규격위원회(CODEX)의 AFB1 규제한도는 15μg/kg이며 우리나라는 10μg/kg 이하로 정하고 있다.

 

이 연구는 중국 전통간장에서 AFB1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처리용 면역자성비드 시스템과 정량용 효소면역분석방법(ELISA)으로 AFB1의 검출방법을 확립하였다. 면역자성비드 전처리방법은 전통적인 추출방법과 면역친화성 칼럼보다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ELISA로 AFB1(0.5~ 7μg/kg)의 평균 회수율은 83.6~104%였다. 이 방법은 간장샘플에서 미량의 AFB1을 측정할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 최선미 등(2013)은 AFB1 신속검출용 간이 진단키트, 박지원 등(2013)은 aflatoxin과 ochratoxinA의 동시분석법을 개발, 보고하였다. Shim 등(2014)은 chemiluminescence competitive aptamer assay, Park 등(2014)은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or에 의한 AFB1의 신속검출법을 Food Control지에 발표하였다. 오염된 식품의 aflatoxin을 신속, 정확하게 분석하는 방법은 계속 개발이 필요하다.

 

앞으로 발효식품을 통한 aflatoxin의 오염과 위해성을 줄이기 위해서 식품 가공원료는 물론 생산 공정과 유통과정을 철저하게 관리, 감독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간장과 된장 등 대두 발효식품의 경우 원료대두와 메주발효 중 aflatoxin 생산 곰팡이의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Fang Xie, WeiHua Lai, Jasdeep Saini, Shan Shan, Xi Cui, DaoFeng Li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150()
잡지명
Foo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9~105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