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불소탄성중합체를 함유하는 전기전도성 접착제

전문가 제언

태양전지분야의 발전에 따라 태양전지모듈의 땜납사용을 포함한 솔더링(soldering) 기술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태양전지모듈은 표면전극과 배선요소로 구성되며, 전기를 모으기 위해 이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통적인 납땜은 고온에서 구성된 재질 간 열팽창지수의 차이로 접합부의 크랙이나 전지변형의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가 되어 최근 표면전극과 배선요소를 전기전도성의 접착제로 연결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폴리머 기반의 전기전도성 접착제는 에폭시, 아크릴, 폴리아미드, 실리콘 등의 중합체와 전도성 입자(Ag)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는 실리콘기반의 접착제가 낮은 탄성으로 인해 선호되고 있으나 이는 전기전도성 입자보다 열팽창계수가 훨씬 높아 열 사이클에 따른 전기출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발명에서는 불소탄성중합체 기반의 전기전도성 접착제를 소개하여 그 기술평가와 이용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소(EERI)가 2006년 전기전도성 접착제의 핵심기술인 하이브리드 구리 페이스트(HPC)를 처음 개발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국내 전자통신 분야와 반도체응용 분야 및 태양전지 분야의 전기전도성 접착제는 주로 일본 등으로부터의 수입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고품질, 저가의 국산화를 통한 기술자립을 위한 연구개발과 실용화가 시급하여 이를 위한 깊은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발명의 주요 기술은 ① 표면전극과 배선요소를 연결하는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② 불소를 함유하는 탄성중합체 매트릭스의 전기전도성 접착제의 조성과 이의 제조기술, ③ 전기전도성 접착제 제조를 위한 교차연결제, 사슬 이동시약 등의 첨가물의 성분 및 제조기술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발명의 유사기술 활용에 앞서 각 기술 항목에 대해 특허 및 실제 제품에 대한 분석조사를 실시하고, 이 결과에 따라 활용범위의 폭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E.I. DUPONT DENEMOUR AND COMPANY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WO20140110238
잡지명
WO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0
분석자
김*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