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내수성 및 접착특성을 갖춘 감압접착제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근년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방출 규제가 세계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접착기술에 대해서도 환경부하의 저감이 불가피한 과제로 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접착제의 무용제화나 탈포르마린화 및 수성화가 진전됨에 따라 이 부분은 상당한 환경부하의 저감이 실현되고 있다.
○ 더욱이 최근 전 산업분야에서 제품의 경량화, 소형화, 공정 간편화 등이 추진되는 것에 부응하여 부품의 접합기술도 볼트/너트, 리벳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에서 열융착, 접착제, 점착제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접합으로 대체 가능한 기술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접합기술은 적용제품의 복잡화, 외형의 감성화 그리고 무게의 경량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 이 발명은 아크릴 폴리머 분산액과 폴리올레핀 분산액으로 조성된 내수성 및 접착특성이 우수한 감압 접착제 조성물의 합성에 관한 기술이다. 이 접착제 조성물은 점착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표면 에너지가 낮은 물질에 대해서도 내수성 및 접착특성이 우수하다. 특허 청구권 범위를 보면, 심사보고서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신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의 기존기술에 참고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국내 접착제 시장은 양분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 대기업들이 접착제 사업에 관심을 두고 있지 않은 가운데 Henkel, Sika, BASF 등 글로벌 기업들이 자동차, 전자 분야의 특화된 고기능성 접착제의 시장공략이 거세지고 있는 한편으로 오공, 대흥화학 등 국내 기업들은 목공, 건축 분야의 범용제품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 향후 접착기술의 개발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우리나라의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 기반기술로의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바이오칩용 생체접착제, 차세대 반도체 공정테이프, 공정 단순화 및 경량화를 위한 구조용 접착, 태양전지나 연료전지 등의 신재생에너지 모듈용 접착 등 선도산업의 기술공정에 적합한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 저자
-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078793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9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