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유아 조제우유: 우유 및 완두 단백질을 이용하는 프로바이오틱스 미세 캡슐화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영유아 우유(infant formula)는 주로 조제분유라는 분말형태로 시장에 나와 있지만 병에 넣은 액체형태로 시판되기도 한다. 제조업체는 영유아 우유의 구성이 분만 후 대략 한 달에서 석 달 사이의 산모 모유를 근거로 해서 제조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들 제품과 모유와의 영양분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조제우유는 정제된 소 우유 유장과 우유 단백질 케이신을 단백질 근원으로, 식물성 지방을 지방 근원으로, 락토오스를 탄수화물 근원으로 하여 비타민과 미네랄 및 업체마다 조금씩 다른 기타 성분들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2001년 세계보건기구(WHO)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살아 있는 미생물로 적당한 양을 투여하면 숙주(사람)의 건강에 이익이 된다는라는 정의를 공표하였다. 이 정의가 발표된 후 2002년에 WHO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공동사업으로 실무그룹이 식품의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평가 지침을 제시하였고, 2010년에는 학계와 업계의 두 전문가 그룹이 프로바이오틱스의 건강효과에 대한 주장을 평가하고 확인하는 건의를 하였다. 이것이 세계적으로 널리 적용되지만 유럽 식량안전기관(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는 이를 수용하지 아니 하였다.

본 분석물의 원문 리뷰는 영유아 조제우유의 조제에서 프로바이오틱스로 인정되는 유산균과 비피도 박테리아 균주를 미세 캡슐화 하는 기술개발을 소개한 것이다. 이들 프로바이오틱스에 의한 건강효과 발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들 박테리아가 식도, , 십이지장, 소장 등의 어려운 환경을 지나 작용하는 장소(대개는 소화기관의 거의 마지막 단계인 대장)에 도달하기까지 충분한 수가 살아남아 생존 가능한 조건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들 세균을 막으로 쌓는 미세 캡슐화기술이 식품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식품과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있는 많은 대학(서울대 등등), 식품연구소들에서 기술개발이 활발하고, 조제우유업체들(서울우유와 네슬레의 기술제휴, 매일유업, 남양유업, 파스퇴르유업 등)이 조제분유 생산 및 연구를 하고 있다.


저자
Kent, R, M, Doherty, S, B,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64()
잡지명
Food Research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67~576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