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간 뇌에서 니코틴 수용체(nAChR)의 침착 영상

전문가 제언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사회경제적 발달과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가 사회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2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9.18%로 환자 수는 541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전체 치매환자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도 정확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지만, β아밀로이드(amyloid)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뇌에 침착되므로 일어난다는 β아밀로이드 병인설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대규모의 아밀로이드 영상연구에 의하면 β아밀로이드 단백의 침착이 인지기능 장해에 영향을 주는 것은 확실하지만, 침착 정도가 반드시 인지기능 장해의 정도와는 상관되지 않는 다는 것도 확인되고 있다.

 

신경 전달체인 니코틴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수용체도 인지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환자의 일부 뇌에서는 아세틸콜린이 정상보다 40~90%가 감소하였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세틸콜린의 현저한 감소가 알츠하이머병에 유발한다는 코린 가설이 지금도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3년에 뇌프론티어사업단이 출범한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한국뇌연구원, KIST 뇌과학연구소, 서울대, KAIST, 가천대 등에서 뇌질환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특히 가천대 뇌과학연구소에서는 PET-MRI 영상시스템에 관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는데 이 자료는 아세틸콜린 중이서 이온 채널형인 nAChRα4β2 α7nAChR의 영상화 기법 및 추적자에 관한 첨단기술을 요약하고 있으므로 국내의 뇌 영상화 기술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Ouchi Yasuom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720()
잡지명
Isotope N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6
분석자
이*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