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핫멜트 접착제는 실온에서 고체이지만 열을 가하면 기재에 적용되는 형태에 따라 액상 또는 유체상태로 융해한다. 냉각하면 다시 고체상태로 돌아온다. 접착제의 냉각으로 생성된 경질상이 최종 접착제에 응집성(강도, 인성, 크리프 및 내열성)을 부여한다.
○ 경화형 핫멜트 접착제는 용융상태에서 적용되지만 냉각 고화하여 계속 화학적 가교반응에 의해 경화한다. 액상에서 경화성 접착제를 초월하는 핫멜트 경화형 접착제의 이점은 경화전의 냉각에서 그린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성능이다.
○ 대부분의 반응성 핫멜트는 습분경화성 우레탄 접착제이다. 이들 접착제는 주로 쇄 연장을 위해 표면 또는 주위 습분과 반응하여 새로운 폴리우레탄 요소 폴리머를 형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로 된다.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통상 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부족한 포트 안정성에 연결될 수 있는 과잉의 분지를 피하기 위해서는 높은 작용성을 가진 폴리올 대신에 순수한 디올을 사용해야 한다.
○ 이 발명에서는 접착제 조성물에 중량에 대하여 약 0.1~15wt.%의 산 작용성 왁스로 된 실란 변성 폴리머로 된 실란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국내 연구개발 현황을 보면 최근 고무변성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와 모노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블록 공중합체로 된 열가소성 탄성체를 함유하는 접착제,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로진, 왁스, 유기인산에스테르 접착 조성물에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배합한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가 개발되고 있다.
○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의 경우 Henkel 등 외국계 접착제 메이커가 주로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기업으로는 소기업들이 이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대학이나 관련 연구소가 새로운 접착제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 굴내 접착제 산업을 육성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Henkel US IP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16398
- 잡지명
-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9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