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발포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전문가 제언

발포 핫멜트 접착제는 통상의 핫멜트 접착제에 비하여 오픈타임이 길고, 압착시간이 짧고, 압착온도가 낮고, 또한 피착체에 도포된 후 유동성이 적고, 단열성, 보온성, 차음성이 우수한 등 여러 가지 점에서 이점이 있다.

 

발포방법은 예를 들면 에틸렌, 아세트산비닐과 같은 폴리올레핀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합성수지, 계면활성제 또는 필러(탄산칼슘)를 포함시킨 고상 핫멜트 접착제를 가열용융한 후 이 용융상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이송수단에 의해 적당량씩 이송함과 동시에 용융상태의 핫멜트 접착제에 질소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가스를 불어넣어 교반하고 노즐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핫멜트 접착제를 발포시키는 것이다.

 

이 발명은 핫멜트 접착제의 조성 및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발포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장에 사용할 수 있는 고내열성을 가진 신뢰성 있는 접착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적용할 경우 포장에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접착력을 제공하며, 환경 및 경제적으로 우수한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접착제는 90 ~ 99.9wt.%의 핫멜트 접착제와 약 0.1~10wt.%의 경직 및 탄성 세그먼트의 교호 블록 공중합체로 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0.05 ~ 10wt.%의 발포 셀 증진제를 포함하며, 발포에 따라 20~80v/v%의 용적 퍼센트를 갖는다.

 

발포성 핫멜트 접착제는 이미 1980년대부터 일본에서 연구 개발이 되었으며, 이번 Henkel Ltd.가 국제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발포성 핫멜트 접착제에 대한 연구개발은 현재로서는 찾아볼 수 없다.

 

국내 핫멜트 접착제의 경우 Henkel 등 외국계 접착제 메이커가 상당한 쉐어를 가지고 있으며, 국내기업으로는 소기업들이 이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대학이나 관련 연구소가 접착제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야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저자
Henkel Ltd.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WO20140116395
잡지명
발포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3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