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균탐지: 현미경에서 스마트폰까지

전문가 제언

  생물무기 또는 생물테러에 이용되는 병원성 미생물에는 바이러스, 세균, 리켓치아, 독소 등이 있다. 병원성 세균은 각종 질병과 식중독의 원인균으로서 공중보건은 물론 군사적으로 큰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탄저균, 페스트균, 장티프스균, 콜레라균. 부루셀라균, 유비저균 등이 중요한 세균성 생물학작용제로 치사 또는 무능화를 목표로 사용될 수 있다.


  생물학 위협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탐지경보, 보호, 제독,  예방치료 등 방책이 단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생물학작용제의 조기 탐지는 사상자 발생의 최소화와 전투력 유지, 경제적 부담의 경감 측면에서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방어 단계이다. 군사적 측면에서 미생물의 탐지는 원거리 탐지, 접점 탐지 및 전문 실험실 확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핵심부품은 바이오센서이다.


  생물학전에 대비한 연구 개발은 전세계적으로 미국이 선도하고 있다. 미국은 ‘Chemical and Biological Defense Program’을 통해 생물학전 관련 기반 기술부터 체계개발에 이르는 연구개발을 광범위하게 수행해 오고 있다. 생물학전에 대비한 탐지 및 진단 장비 개발의 중요한 예로는 BIDS (Biological Integrated Detection System), JBAIDS (Joint Biological Agents Identification and Diagnostic System)를 들 수 있다.


  국내의 바이오센서에 관한 연구 개발은 활발한 편으로 첨단 나노기술도 응용하고 있지만 진단용 혈당센서와 연구용 센서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감염성 미생물을 대상으로 한 바이오센서 및 탐지장비 개발 실적은 저조하다. 군사과학 측면에서 국가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일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상세한 기술 내용은 파악이 어렵다.


  전장 환경에 적합한 생물학 탐지장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감도, 특이성과 같은 기본 성능에 더하여 구성 시약의 안정성과 장기 수명, 견고성, 허위 경보 최소화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룬 현미경 관찰로부터 스마트폰-기반 탐지에 이르는 기술을 군사적 응용성 측면에서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종이-기반 탐지 시스템과 스마트폰-기반 탐지 시스템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저자
Subash C.B. Gopinath, Thean-Hock Tang, Yeng Chen, Marimuthu Citartan, Thangavel Lakshmipriy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60()
잡지명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32~342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