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고속중성자 방사선촬영법의 변환기기술
- 전문가 제언
-
○ 국내에서는 1970년대 이후에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비파괴검사기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 특히 방사선 비파괴검사는 한국가스공사, 대한송유관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기간산업체와 다양한 중소기업체에서 에너지 수송배관 등 재료의 결함을 검사하는 데에 사용되어 왔다.
○ 방사선 비파괴검사 중에서 중성자 방사선촬영법은 원자로의 연료재료나 항공기 부품 또는 두꺼운 금속용기나 핵연료봉 등의 결함검사에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엑스선이나 감마선 등의 방사선촬영에 의한 검사가 곤란한 납과 같이 비중이 큰 재료의 검사에 유리하다.
○ 그 중에서도 고에너지의 중성자를 사용하는 고속중성자 방사선촬영법은 더 두꺼운 시료들을 투과하여 검사할 수 있는 반면에 투과된 고속중성자를 검출하여 영상화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 이 자료는 고속중성자 방사선촬영에서 검출된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근에 개발된 새로운 섬광체와 파장변이 섬유조직으로 만들어진 변환기의 설계 최적화와 제작기술을 소개하고 있으며 시험을 통해 새로운 변환기가 매우 우수한 성능을 지니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본문이 소개하고 있는 새로운 WSF 변환기는 중성자촬영범의 영상 품질을 향상시켜줄 것이며 또한 고속중성자 방사선촬영법의 더욱 높은 검출효율과 해상도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의 비파괴검사업체들과 관련 분야에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 저자
- Hang Li, Yang Wu, Chao Cao, Heyong Huo, Bin T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762()
- 잡지명
-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64~69
- 분석자
- 성*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