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산업에서 환경을 고려한 경량화 기술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2012년 세계 자동차 사용대수는 10억 대를 상회하고, 중국은 매년 25%이상 증가하여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산업이 세계 CO2 배출의 27%를 차지하게 되고 자동차 제조회사는 CO2배출을 감축하기 위하여 EV, HEV처럼 환경파괴가 적은 자동차생산은 물론 CO2배출의 감축 해법을 찾는데 집중하게 되었다.

 

CO2 배출을 감소하려면 자동차 중량을 감소하여야 하고, 중량을 10% 감소하여 연료소비가 4~6% 감소하는 것을 경량화 개념이라고 정의한다. 2020년에 자동차수요의 60%를 차지할 신흥국은 소득 및 환경규제 의식이 낮아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가 주류가 될 것이므로 환경 대응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부품의 경량화라고 생각한다.

 

경량화 추진방법에는 부가기능을 추가하는 점진적 혁신과 제품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근본적 혁신의 두 가지가 있다. 본문에 사나 프로젝트의 사례를 통해 SaabVolvo 2개 자동차 회사가 어떻게 경량화에 도전하였는지 또 미래 자동차에 경량화 개념을 도입하는데 무엇이 장애요인이고 무엇이 성공요인인가에 대해 기술하였다.

 

Saab는 공급자를 포함한 새로운 형태의 협력팀을 구성하고 단기간에 제품에 적용보다 근본적 혁신에 집중하였고, Volvo는 점진적 혁신 방법을 통해 단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해법을 개발하는데 집중하였다. 근본적 혁신은 제품에 당장 적용하기 어렵고, 점진적 접근방법으로 점진적 혁신을 통해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정부차원에서는 지구환경문제 및 자원제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CO2의 삭감, 비 화석 에너지원의 이용촉진의 필요성 때문에 차세대 자동차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 업체도 경량화를 위해 철강 경량소재는 물론 탄소섬유,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 경량소재를 포함하여 부품 경량화 로드맵을 공유하는 등 부품 소재업체와의 전략적인 협력관계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
Asa Kastensso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66()
잡지명
Jou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37~346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