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3D전자기기에 적층가공기술의 응용

전문가 제언

 

적층가공(AM, additive manufacturing) 기술은 분말 재료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 방식으로 쌓아올려 디지털 모델로부터 고체 물체를 만드는 과정이다. 적층가공은 전통적인 제조기술이 가지는 여러 구속조건을 극복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본고에서 제시한 적층 가공기술은 다양한 3D 전자기기 응용이 가능하며 분말베드 기반의 3D 프린팅 적층 가공 방식은 부품 내에 전자기기 내장이 가능하다.

2007년부터 3D 프린터는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의 하이프 사이클 유망기술 보고서에서 선정한 미래 유망 기술이다. 개인용 3D 프린터 시장규모는 2013년 1.2억 달러로 절대 규모는 미미하나 2018년에는 5.9억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재료, 3D 프린터 서비스 등을 포함한 산업 규모는 2018년 약 14.6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12년 현재 산업용 3D 프린터 시장은 M&A로 성장한 Stratasys(美)와 3D Systems(美) 양사의 과점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Stratasys는 Solidscape(美)와 Objet(伊) 회사를 인수하여 57.4%의 시장 점유율을 달성하고 있으며 3D Systems는 선택적 레이저 소결조형방식(SLS)과 광경화수지 조형방식(SLA)기술에 대한 원천 특허 보유하여, 2011년 이후에만 25건의 M&A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시키고 있다.

국내 산업용 3D 프린터 시장 규모는 2012년 약 30억 원으로 추정되며, 장비 대부분은 해외기업에서 수입하고 있다. 이중에서 실제 산업용 3D 프린터를 개발?판매하는 기업은 캐리마, 인스텍, 로킷 등에 불과하다. 아직까지 3D 프린팅 기술과 관련된 국내 기술개발 현황은 미미한 실정이다. 시장성 한계와 기반기술이 성숙되지 않아 개발기술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나 최근에 가전, 자동차, 소비재 그리고 교육 분야에서 3D프린터 활용이 늘고 있음은 무척 고무적인 일이다.

3D 프린팅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시제품 제작 시간과 비용 절감 및 이를 통한 제품 혁신의 가속화다. 특히 인공 뼈, 장기, 기타 조직 등 다품종 소량 생산 능력이 중요한 바이오 의료 분야에서 3D 프린터가 국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Hoerber, J., Glasschroeder, J., Pfeffer, M., Schilp, J., Zaeh, M., Franke, J.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4
권(호)
17()
잡지명
Procedia CIRP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806~811
분석자
마*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