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마이크로 구동을 가진 로봇 가공의 통합 방안
- 전문가 제언
-
○ 이 해설 논문은 로봇가공을 위한 통합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안은 일반 로봇 및 외부 압전구동 3D 보정메커니즘을 가진 매크로/마이크로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 성능은 여러 가공실험에서 평가되고 가공된 공작물 정밀도는 수치화되어 최신 로봇가공 방안과 비교 검토되었다. 제안된 방안은 스틸재료의 밀링가공 작업에서 높은 정밀도 향상을 보여주고 있다.
○ 마이크로 매니퓰레이터는 제어를 위해 2세트의 센서를 사용하는데, 그 중 하나는 압전 액추에이터 내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로 각 액추에이터의 확장을 측정하고 나머지 세 개의 정전용량형 센서는 엔드 이펙터(end effector) 판의 3차원 위치를 측정한다.
○ 과거의 로봇은 인간의 지시를 그대로 수행하는 수준이었다면 최근 로봇은 수백 배로 빨라진 데이터처리 기술과 다양한 센서의 개발로 스스로 학습하고 인간과 감정을 교류하는 수준으로까지 발전했다. 현재까지의 로봇은 대부분 공업적인 용도로서 자동차나 항공기 제작, 조선공업 등 대단위 장치 산업에서 위험하거나 반복 공정을 필요로 하는 단순 업무를 인간을 대신하는 대체기능으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는 데 주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작업을 반복하는 로봇의 산업적 이용한계를 넘어 만화영화에나 등장했던 수준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 정부는 기술개발과 병행하여 로봇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육성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기술, 한울로보틱스, 동일파텍, 로보테크 등 기업을 중심으로 국방용 로봇, 공공서비스 로봇 등의 지능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앞으로 3D 작업용 가공조립 및 물류 작업용 로봇, 용접 및 도장 작업에 필요한 산업용 이동로봇 등을 포함, 실외 작업용 로봇, 바이오 작업용 로봇 등 각종 산업생산을 지원하는 로봇 셀 생산방식으로의 발전이 기대된다.
- 저자
- Ulrich Schneider, Bjorn Olofsson, Olof Sornmo, Manuel Drust, Anders Robertsson, Martin Hagele, Rolf Johansso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30()
- 잡지명
- Robotics and Computer-Integrated Manufactu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36~647
- 분석자
- 마*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