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된 점토광물의 화생방 보호재료 응용 가능성
- 전문가 제언
-
○ 가공된 점토광물(clay minerals)들이 겨자가스(mustard gas)와 같은 화학작용제의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몇 가지 세균들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점토광물들의 실용화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재 화생방 보호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활성탄소를 기반으로 한 흡착제들과 방호력과 경제성에 대한 비교 평가가 필요하다.
○ 보호재료의 화학 및 생물학 작용제 방호력은 시험평가 방법, 원료의 가공방법 등에 따라서도 달라지기 때문에 점토광물의 경우에도 보호재료로 최종 가공된 상태에서 표준화된 시험법들을 적용하여 겨자가스 외에 신경가스(soman)에 대한 방호력 시험이 추가되어야 한다.
○ 분말형태의 점토광물은 방독면 정화통(canister)이나 가스여과기(gas filter)와 같이 공기흐름 저항(air flow resistance)이 중요시되는 분야에 적용되기 어려우므로 보호의 재료나 제독제로 응용을 목표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군용 화생방 보호의는 장기간 착용이 필요하고 착용 후 개인의 전투력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므로 최근에는 초기 방호력 뿐 아니라 장기간 착용 후 방호력이 유지될 수 있는 재료, 가볍고 통기성이 좋은(air permeable) 재료, 화염 등에 견딜 수 있는 재료 등이 연구개발 목표가 되고 있다.
○ 점토광물을 고분자 필름에 충진제로 적용한 형태의 보호재료는 이러한 군용 화생방 보호의 개발목표를 충족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화생방 상황에서 단기간 착용을 목적으로 한 민수용 화생방 보호의, 산업분야에서 독성 화학물질 취급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의 등으로 이 분야의 응용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화학 및 생물학 작용제의 종류가 다양하고 전투임무 환경에 따라 보호의 착용 후 방호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군용 화생방 보호의를 목표로 새로운 보호재료가 개발되기 위해서는 재료의 합성, 제작뿐 아니라 방호력 시험평가 분야에도 많은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하다.
- 저자
- Daniela Plach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271()
- 잡지명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5~72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