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높은 산소전달률을 가진 무용제 폴리우레탄 적층용(laminating) 접착제

전문가 제언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접착제 분야에서도 환경에 우수한 접착제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첫째는 인류뿐 아니라 모든 생태계에 대해서 안전해야 하며, 둘째는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물질을 방출하지 말아야 한다. VOC(휘발성 유기용제) 문제 때문에 접착제 산업은 물론 모든 산업분야에서 용제가 사용되는 물질에서 수계화 및 무용제화로의 전환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폴리우레탄(PU) 접착제는 식품 포장봉지 등에 사용되는 유연한 포장용 적층(lamination) 필름의 접착제로 불가결한 존재로 부상되고 있다. 식품포장 필름의 적층 접합용 접착제에 요구되는 성능은 작업성과 접착강도 외에도 내레토르트성, 내내용물성, 통기성이나 인체에 대한 안전성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이 필요하다.

 

이 발명은 신선도가 요구되는 채소 등을 포장하기 위해 소재 필름의 산소전달률(OTR)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OTR이 높은 포장필름용 적층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접착제 조성은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가진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물질과 같은 다기능 경화제로 구성되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가 부가된다. 이 발명에 사용된 구성 성분은 기존의 시판되고 있는 제품들이므로, 특허권 저촉여부는 배합제의 종류 및 배합비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PU 산업은 1957년 동신화학이 최초로 PU 폼을 제조한 것이 효시이다. 현재는 PU 접착제의 제조업체로는 동성화학, 오공본드, 신성화학공업 등 많은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특히, 성도케미칼이 개발한 식품포장용 적층 PU 접착제는 미국 식품의약청(FDA) 인증연구소에서 식품포장용 접착제부문의 무독성 TEST를 실시하여 인증을 받았다. 또한, 학계에서는 2004년에 한국폴리우레탄학회를 창립하고 연구개발을 촉진시키고 있다. 향후 PU 접착제는 식품포장용 필름뿐 아니라 자동차, 전기전자, 건축 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의 용도가 확대될 것이 예상되므로 다양한 기능의 개발과 접착 및 경화 시스템의 개선이 요구된다.

저자
Ashland Licens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LL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WO20140031846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6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