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형 와이어형의 전기화학적 축전지와 리튬이온 전지

전문가 제언

 

2006년 삼성전기 주식회사에서는 와이어형 소형 개질기를 구비한 소형 연료전지(KR100649676)의 특허를 등록하였다. 이 특허는 액체 연료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소형 연료전지에 있어서, 액체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수소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튜브 내부에 열원을 공급하는 히터 및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촉매를 구비하여 액체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생산하는 전지 개질기에 관한 것이다.

 

2013년 중국의 Guangmin Zhou 등은 유연한 가변형의 리튬이온 전지의 개발과 전망에 관한 논문을 국제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학회지에 보고하였다. J. M. Tarascon과 M. Armand도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전의 문제점, 개량된 전지 개발동향에 관하여 Nature학회지에 등재하였다.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해 복합전자 반응을 하는 새로운 전극 재료 연구, Pt촉매 절감을 위한 고에너지 리튬-황 및 리튬-공기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 시스템도 연구되고 있다. 향후 전해첨가물의 비활성 부품 비율을 감소시키고 활성 재료의 내구성 향상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2013년 국내 엘지전자도 휘어지는 곡면 휴대전화를 개발하였다. 중국이 스마트 제품개발이 급부상하는 가운데 2014년에는 삼성과 엘지전자는 휘어지는 TV도 출시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도 형상 변형이 가능한 유연한 소형 와이형의 리튬이온 전지의 전해질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향후 소형 와이어형의 축전지와 유연성의 리튬이온 전지는 국내 중소기업 소형기계 공장의 전지성능 향상 등,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고성능 이차전지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와이어 타입의 유연한 소형 전지와 같은 시스템은 미래의 전자기기 발전 방향의 또 하나의 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국내 전지조합에서도 LIB가 합리적 가격으로 상용화 생산될 수 있도록 전문가를 통한 기술동향 자료제공과 함께 정부에서는 경제적인 제조공정 개발을 위한 전지개발에 관한 과제수행 지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저자
Shaowu Pa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17(6)
잡지명
Materials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76~284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