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부탄올 혼합 연료의 디젤엔진 배출 물과 성능에 대한 영향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기 위해서 주로 식물성 기름을 원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식물성 기름은 고가이며, 식품이므로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오일을 사용한 후 얻어지는 폐식용유의 발생량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를 경제적 및 환경 친화적 처리방법인 바이오디젤 생산원료로의 사용은 적합하다. 폐식용유는 지방산 및 물의 함량이 높은 단점이 있으나, 바이오디젤 원료로 가장 유망하다.
○ 4행정, 자연 흡기(naturally aspirated engine), 수 냉각, 간접분사 디젤엔진(IDI: Indirect Injection Engine)의 배출 물과 성능에 대한 부탄올-바이오디젤 혼합물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바이오디젤-부탄올 혼합물은 낮은 배기가스온도와 질소산화물(NOx) 배출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일산화탄소(CO)와 불연소 탄화수소(HC)를 배출하였다. 가장 높은 농도의 부탄올을 가진 바이오디젤 혼합물은 디젤보다 높은 CO와 HC 배출과 낮은 NOx를 나타내었다.
○ 간접분사식 Kubota GL7000 디젤엔진 발전기(engine generator)에서 수행된,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연구소, 혹은 대기업 및 대학의 연구소에서 Biodiesel-butanol 혼합연료에 대한 연구에 아주 유용한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국내에서 Biodiesel-butanol 혼합연료에 대한 국내 논문, 보고서 그리고 특허가 없는 것이 특이하다.
○ 친환경 차세대 에너지인 바이오부탄올의 생산성을 기존 바이오에탄올 수준으로 크게 향상시키고 생산비용은 대폭 줄인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카이스트(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 교수 연구팀이 GS 칼텍스, 바이오 퓨얼켐과 공동으로 시스템대사공학 기법을 이용해 바이오부탄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높인 공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향후 국내에서도 바이오 연료에 대한 활발한 연구개발로 화석연료 대체연료가 개발되기를 바란다.
- 저자
- Nadir Yilmaz ?, Francisco M. Vigil, Kyle Benalil, Stephen M. Davis, Antonio Calv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135()
- 잡지명
- Fue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6~50
- 분석자
- 장*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