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코카인 중독의 신경계 회복 가설

전문가 제언

이 논문에서는 악물중독, 특히 코카인 중독에 대해 신경회복(neural rejuvenation) 가설에 대한 세포와 분자수준의 메커니즘을 소개하고 있다. 최근에 중독이라는 것은 분자와 세포에서 정상 학습과 기억과정에서 일반적인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기전의 기억형태가 약물에 노출되면서 병적인 중독 관련 기억으로 강탈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실험적인 결과는 코카인에 노출은 특정한 신경기절을 회복시켜 잠재적인 발달 가소성을 각성시켜 비정상적이며 장기적인 강한 적응변화가 형성되는 메커니즘이며, 여기에는 약물과 관련된 기억이 키 역할을 한다. 코카인-유도로 새로 만들어진 신경회복은 중독과 금단에도 새롭게 시냅스 회로에서 성숙과 강화하는 단계를 거쳐 행동의 비정상의 결과를 낳는 것으로 본다.

 

코카인-유도 가소성에는 뇌 nucleus accumbens(NAc)에 초점을 두고 일반적인 테마로 설명을 하고 있다. 전사수준에서 분자를 보면 NAc가 중독과 관련된 비정상적인 행동을 매개하며 코카인 혹은 다른 약물에 노출된 후 NAc에서 두 개의 전사인자, CREB의 활성과 DFosB의 축적이 일어나고 이와 연계된 분자의 역할을 소개한다. 코카인, 헤로인, LSD 등 식물에서 추출한 알칼로이드는 식물성 진통제와 마취제로 중요한 약물이다.

 

약물남용이 먼저 발달 가소성을 자극하고 그 가소성 메커니즘을 이용한다는 생각은 약물중독에 대한 세포와 회로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약물중독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내 천연물에서도 다양한 생약개발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번에 니즈분석 ‘천연물 생약 개발 및 고품질 약초생산기술’과 관련하여 이 논문의 분자수준의 메커니즘과 학술적인 가설이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저자
Yan Dong and Eric J. Nestl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35(8)
잡지명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74~383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