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젤엔진 성능을 위한 나노 실리콘과 나노알루미늄을 가진 물 분해에 의해 발생된 수소의 영향

전문가 제언

내연기관에서 나노실리콘/물 그리고 나노알루미늄/물의 반응 동안, 생성된 수소의 효과적인 이용을 본 연구에서 수행되었다. 엔진 성능과 체계적이고 안정된 나노 에멀션 연료(emulsion fuel, Water/Diesel), 물/디젤(W/DA)에 나노 알루미늄 그리고 나노실리콘/디젤(W/DS)에 물에 대한 에멀션 연구가 디젤과 비교되었다.

 

실험적 연구에서 제동연료소비율(BSFC: Brake Specific Fuel Consumption)이 21~37%까지 저하됨을 보였다. 엔진이 W/DA 그리고 W/DS의 연료로 공급되었을 때, 제동열효율(BTE: Brake Thermal Efficiency)은16% 그리고 14%까지 각각 증가되었다. 제동평균 유효압력(Brake mean effective pressure), BTE 그리고 NOx 배출은 배기가스 온도의 저하로 W/D에 대해 저하하였다. 그럼에도, 최고 실린더 압력과 배기가스 온도 때문에, NOx, CO, HC은 최저로 증가하고, 복사열 배출이 W/DA와 W/DS에서 관찰되었다.

 

디젤엔진에서 나노유체를 이용한 국내 특허는 검색되지 않았다. 이 분야에 대한 국내 보고서는 2009-07에 발표된 “저탄소 지상무기체계 개발효과 분석”이 있다.

 

이 분야 학술 연구로는 “다이아몬드 나노유체의 열전달 및 기관윤활특성(2014)”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2005년도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개최한 제20회 에너지절약기술 Workshop에서 “고유가 및 지구온난화 대비 기술” 등이 발표되었다.

 

이상의 국내특허 및 학술연구 검색에서, 이 분야 국내 특허는 검색되지 않았다. 또한 국내 학술연로는 “다이아몬드 나노유체의 열전달 및 기관윤활특성(2014)” 단 한편이 학위논문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2005년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개최한 제20회 에너지절약기술 Workshop이 개최되었다. 본 분석물은 이 분야의 연구나 개발에 아주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고, 앞으로 학계나 산업계에서 노력해야 할 분야로 생각된다.

저자
Rakhi N. Mehta a,b, Mousumi Chakraborty b,*, Parimal A. Parikh b,*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39()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098~8105
분석자
장*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