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캐스팅 금형의 변형 시뮬레이션에 의한 ADC12 다이캐스팅의 주조핀 발생 예측
- 전문가 제언
-
○ 다이캐스팅은 복잡한 모양의 제품을 빠르고 정밀하게 주조할 수 있는 주조방법으로 자동차부품이나 전자부품을 안정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공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 국제경쟁에서 다이캐스팅업계는 제품 개발기간의 단축, 제조원가의 인하 및 고품질 등을 요구받고 있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주조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 기술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 다이캐스팅 작업은 고온, 고속, 고압의 환경하에서 비선형의 열 및 역학적인 거동을 실험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경험이나 직감에 의존하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미국 GE의 연구자에 의하여 컴퓨터 해석방법이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982년에 일본에서 시뮬레이션이 실용화되기 시작하면서 서서히 어려움이 풀려가고 있다.
○ 다이캐스팅 금형을 설계하고 제작할 때는 레이아웃, 탕구계의 설계, 금형의 냉각조건, 중자 관계 및 충전과 응고 등 여러 가지를 검토하게 되며 이렇게 하여 제작된 금형도 실제 현장에서는 수정과 변경을 하여야할 어려움이 있다. 이는 시간과 경제적으로 큰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 최근에는 독일의 MAGMAsoft, 미국의 Flow-3D, 일본의 Adstefan과 같은 주조 전용 프로그램들이 현장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이슈로 환경오염 문제와 자원보전 문제로 산업전반에 걸쳐 경량화와 작업환경 개선이 요구되어 사형주조와 같은 일반 주조공정이 다이캐스팅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CAD/CAE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 국내에서 다이캐스팅에 컴퓨터를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이며 2000년대 초반에는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성형해석 software로는 MAGMAsoft, Anycasting, Z-Cast, Procast 등이며 이들 software 중 국내에서 개발된 Anycasting, Z-Cast 등도 최근에는 적용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국내 다이캐스팅 산업의 기반을 다지는 데 일조를 하고 있다.
- 저자
- Hiroshi Yamagata etc.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86(2)
- 잡지명
- 鑄造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21~126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