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포성 내화 도료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내화도료는 구조물을 일정시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성 도료로 난연성뿐만 아니라 화재발생 시 고온의 열이 철강재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거나 지연시켜 구조물의 급격한 내력저하로 인한 건축물의 붕괴를 막아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고의 확대, 기물손상과 인명손실 등의 재앙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요한 소재중의 하나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내화도료는 1990년 대 후반 석유화학 공장에 대한 시설 투자가 증가하고 일반 건축물에 대한 내화성능 기준이 국제기준에 맞는 공장 건축물의 성능기준과 동등하게 되면서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내업체들에 의한 내화도료의 개발과 생산이 활기를 띠게 되었고 주로 공장 건축물 및 위험물 저장과 취급설비에 적용되고 있다.
○ 이 발명은 (a)바인더 (b)폴리인산을 생성하는 데 효과적인 산 촉매 (c)고형 탄소 공여체 (d)낮은 분해온도의 인산에스테르를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다가 알코올 형 액상 탄소 공여체 (e) >200℃ 온도에서 분해하는 팽창제 (f)안료 (g) 그 외의 첨가제 등으로 이루어진 내화도료 조성물로 고형 탄소공여체와 함께 글리세린과 같은 액상 탄소공여체를 사용하여 화재 방지 시간을 늘리고 차르가 보다 조밀하고 작은 균일 공기실을 이루게 하고 균열 수준을 감소시키고 유연성을 갖게 한 것이다.
○ 최근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건축용 내화도료는 열가소성인 아크릴 수지를 기초로 하여 고온에서 장시간 견딜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장시간 내화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에폭시 타입 수지를 기초로 하는 내화도료가 국내에서도 개발되고 있다.
○ 내화도료에 관한 개발은 철골과의 부착성 향상과 화재 시 팽창된 차르의 내부구조를 조밀하게 하여 단열성능이 개선되게 하는 조성물 등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어 이 발명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나 도료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 참고할 만한 특허이다.
- 저자
- PPG Coatings Europe B.V.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080000
- 잡지명
- An Intumescent Coating Compos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0
- 분석자
- 김*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