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용접봉의 자동교체 장치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은 플럭스로 덮인 한정된 길이의 소모성 용접봉을 효율적으로 용접할 수 있는 아크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한쪽 끝이 노출된 용접봉을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클램프에 접속되어 공급되게 함으로써 자동으로 용접할 수 있게 하는 아크용접봉 자동교체 장치의 제조기술을 확립하였다.
○ 피복아크용접은 용접 시에 용접봉이 자동으로 공급되는 동안에 용접봉의 끝 부분에서 다시 새로운 용접봉으로 빠르게 연결되어 용접지의 응고를 피하기 위하여 충분히 빨리 공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용접과정이 방해를 받게 되어 슬래그 발생 및 불완전한 응고 등으로 인하여 용접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내용을 참고로 하여 아크용접장치에 대한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다.
○ 아크용접에서는 공급속도, 즉 용접헤드의 속도는 주위의 환경조건, 용접되는 재료의 두께와 화학성분에 달라진다. 특히 수동으로 잔류 토막(stub)을 버리게 되는 방법은 작업시간의 불일치를 가져와 시간의 낭비를 가져오고, 생산성 및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대비하여 국내 관련 용접장치 제조업체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을 개선하여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클램프와 공급 캐리지를 이용하고 전자기적인 자동화 장치를 고안하여 새로운 아크용접장치의 제조기술을 확립해야 할 것이다.
○ 소모성 용접봉을 이용하는 아크용접은 압력용기와 같은 열악한 환경조건에서 대형의 후판구조물 등에 다양한 형태로 광범위한 분야에 국내외적으로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에 가장 효율적으로 생산성 및 품질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아크용접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향후에는 파이프식의 봉에 내부에 플럭스를 넣든가 혹은 플럭스의 배열에 대한 개선연구도 병행하여 국내외에 경쟁력을 갖춘 독특한 아크용접장치를 개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DU PREEZ, Andre Hjalmar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030124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3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