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시멘트 산업의 CO2 저감기술 분석

전문가 제언

지구온난화는 온실가스(GHGs: Greenhouse gases) 농도 증가로 온실효과가 발생하여 지구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6대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이다.

 

기후변화 국제협약인 교토의정서에서는 6대 온실가스에 대해 관리하고 있고, 인위적으로 배출되는 전체 온실가스 양에서 이산화탄소는 6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석탄, 석유, 가스 등과 같은 화석연료의 사용이 온실가스 배출의 가장 큰 원인이다.

 

시멘트 생산은 전 세계 인위적 CO2 배출량의 약 5%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집약적 제조 공정을 가지고 있다. 중국은 2010년 시멘트 생산량이 18.68억 톤에 이르러 전 세계 생산량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중국 시멘트 산업에 있어 에너지효율 개선 기술, 대체연료의 사용, 클링커 대체 기술, CCS 등의 CO2 저감기술을 분석하고 비교 평가함으로써 그 기술들의 CO2 저감 잠재력을 평가하고, CO2 저감기술에 의해 절감된 비용을 추정했다.

 

국내 시멘트 산업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대부분이 이산화탄소이며, 전체 배출량 중 에너지 사용에 따른 배출이 40%, 석회석 원료의 탈탄산 과정에서의 배출이 60%에 이르고 있다. 국내 시멘트 업체에서는 지속적인 에너지효율 향상을 추진하고 있고 폐기물 연료의 재활용, 고로슬래그와 같은 산업 부산물의 연료 이용 확대 및 폐열발전설비 도입 등을 추진하여 CO2 저감을 통한 지구온난화 방지에 노력하고 있다.

 

국내 시멘트 산업에서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에너지효율 개선 기술은 CO2 감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고, 클링커 대체는 그것의 낮은 비용을 고려해서 실행되어야 한다. CCS 기술은 CO2 감축에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도입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특히 습식/건식 흡수법, 막(membrane) 분리법 등의 CO2 포집 기술 개발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저자
Yufei Wang, Samuel Holler, Peter Viebahn, Zhengping Ha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20()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7~36
분석자
김*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