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소 연료전지 기술동향

전문가 제언

최근 수소 연료전지는 자동차(FCV)를 비롯하여 선박, 항공기에 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수소 연료전지는 휴대용 가전제품에서부터 운송 차량 및 발전 시장에 이르기까지 잠재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왔고 기능성도 확인되었다. 하지만 대중적인 상용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유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높은 가격과 부족한 내구성, 수소 사용을 위한 기반 시설 부족 때문이다.

 

2014년 국내 POSCO사에서는 발전용 수소 연료전지, Hyundai-Kia 자동차는 수송용 연료전지를 개발하고 기술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2009년 전북 테크노파크에서는 수소연료전지 기술동향을 발표하였다. 연료전지 개발동향, 용융 탄산염 연료전지 기술 및 사업 현황, 연료 개질과 가격분석, 응용제품에 관한 내용이다. 항공기용 연료전지는 PEMFC방식과 SOFC(Solid Oxide Fuel Cell)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2009년 광주과학기술원에서도 연료전지 항공기 기술동향을 발표하였다. 무인항공기의 경우 PEM 연료전지 기술을 기반으로 군용 또는 상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9년에 오스트리아에서는 수소 연료전지 보트가 개발되었다. 이 보트의 추진 시스템은 태양전지 패널, 전기분해조, 고압 수소저장 시스템과 연료전지로 구성되었다. 이 보트는 80km를 항해할 수 있고, 종래의 전지 기반의 보트 운행거리보다 두 배 멀리 운행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안정성 확보와 함께 특히 내구성 확보는 이동용 연료전지에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즉, 바람이나 열, 운전조건이나 동적인 부하, 진동에 따른 막전극 조립체의 내구성 향상이 병행되어야 한다. 전해액 관리기술, 고온 밀봉재, Pt 절감 대체 선행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수소 연료전지는 높은 효율과 친환경성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수소연료 전지의 가격 감소를 위해서는 귀금속 촉매 사용량 감소, 내구성 확보, 저렴한 셀 구성 부품 재료개발, 연료 공급 및 저장 시스템, 펌프, 송풍기, 전력 및 제어 부품, 압축기 등과 같은 부대부품 개발 및 대량생산에 있어서의 종합적인 정책과 경제성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저자
Omar Z.Sharaf,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32()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10~853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