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측정장치 및 방법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은 방사선검출기와 관련이 있다. 특히 본 발병은 유전(oil field)이나 가스전(gas field)의 시추공(borehole)에 설치하여 중성자의 시간적 반응을 분석하여 중성자기공율(porosity), 형성수소지수(formation hydrogen index), 형성시그마(sigma)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 He-3은 단면적이 커서 중성자를 검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He-3을 사용하는 검출기는 유전과 가스전에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재래식의 붕소나 삼불화붕소(boron trifluoride)를 사용하는 검출기는 He-3에 비하여 효율이 낮고 공간이 협소하고 고압, 고온, 기계진동과 충격이 있는 시추공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제한이 있다.
○ 본 발명은 음극에 굴곡면을 제공함으로써 중성자를 전자로 전환하는 전환층의 표면적을 증가하여 검출기의 효율을 증가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검출기는 복수의 음극과 지지층으로 구성된 모듈을 스택(stack) 하여 검출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검출기는 유전이나 가스전에서 사용에 적합하다. 중성자원과 복수의 검출기를 시추공에 설치하여 중성자의 시간적 반응을 분석하여 중성자기공율(porosity), 형성수소지수(formation hydrogen index), 형성 시그마(sigma)를 측정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 우리나라의 방사선 의료 및 산업용 방사선검출기 분야의 기술은 매우 미약하며 몇 곳의 연구소와 대학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10년에 대면적 2차원 중성자검출기를 미국, 프랑스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 개발하여 일본의 연구용원자로에 공급한 바 있다. 2011년에 한국수력원자력은 우진(주)과 공동으로 원자로 중성자검출기를 국산화하였는데 이 분야는 지금까지 미국의 Westinghouse사와 프랑스의 Areva사가 독점하여 왔다.
- 저자
- ZHOU, Zilu, et al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065990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9
- 분석자
- 강*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