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biletin의 화학과 생물활성 및 그 대사산물
- 전문가 제언
-
○ 모든 식물에서 발견되는 Flavonoids는 이들 식물색소의 원인이 된다. Flavonoids의 화학은 매우 복잡하여 수많은 다양한 화학물질 그룹을 이루고 있다. 이 그룹에는 Flavonols, dihydroflavonols, flavones, isofalvones, flavanones, anthocyanins, anthocyanidins 등이 있으며 각 그룹마다 수백 내지 수천 개의 Flavonoids가 있다.
○ Flavonoid구조에서 두 개의 벤젠환(A환과 B환) 중 B환이 Pyran환(C환)의 2번 탄소에 결합되고 4번 탄소에 케톤이 결합된 Flavones는 과일 채소의 Flavonoids 중 가장 많은 하위그룹이다. Nobiletin은 flavone구조에 6개의 methoxyl그룹이 함유된 PMFs로서 이 높은 methoxyl화(Tangeretin도 유사한 구조)는 소수성 성질을 증가시킨다.
○ 이와 같이 Flavonoids의 유도체들과 의학적 효능의 다양성만큼이나 국내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을 비롯한 관련 산학계뿐 아니라 한의학계에서도 이들 Flavonoids 관련연구가 광범하게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로 Flavonoids의 흡수, 수송기전이나 분리동정을 비롯하여 임상시험을 통한 효능시험이 주를 이룬다.
○ 인간건강에 영향을 주는 생물활성물질인 식물화학물질 중 가장 큰 그룹인 이러한 Flavonoids는 신경퇴행성 질환, 염증성 질환, 암 등 수많은 질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임상시험에서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생체이용률, 대사, 작용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아직도 많은 여지가 남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Flavonoids의 항산화효과에 대한 메커니즘은 일부 알려져 있으나 생체내에서의 대사경로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 없다.
○ 이와 같이 Flavonoids의 각 하위그룹(예; Flavones, Flavanones, Antho- cyanidins, Isoflavones, Neoflavonoids 등)에는 그 구조와 생체내 항산화효과의 메커니즘 관계, 대사경로에 따른 효능의 차이 등 수많은 연구 분야가 존재한다. 앞으로 이들 하위그룹에 대해 세분화된 체계적인 연구시스템을 구축하여 각 분야의 전문화된 연구기관들이 참여하는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Shiming L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6()
- 잡지명
- Journal of Functional Fo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10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