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나트륨을 사용한 CRT 패널유리
- 전문가 제언
-
○ 기술 발전에 따른 LCD와 같은 새로운 디스플레이 등장으로 예전에 TV나 모니터 등에 사용하던 CRT가 대량으로 폐기되고 있다. 이는 자원 및 폐기물 처리의 중요한 대상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디지털 TV로 전환이 되면서 약 1천만 대 정도의 CRT가 배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향후 CRT는 120만 대/년 이상이 배출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추세이다. 유럽도 매년 750만 톤의 폐전자 제품이 발생하고 있으며, 컴퓨터 모니터와 TV가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그 증가 추세는 매년 3~5%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 폐 CRT의 가장 좋은 재활용 방안은 CRT to CRT로 폐 CRT의 파유리를 다시 CRT 제조용 용해로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CRT 제조회사가 거의 생산을 중단하여 적용이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폐CRT를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야 하는 상황이다.
○ CRT는 크게 패널(panel), 퍼넬(funnel), 넥(neck)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유리분말로 접합하여 제조된다. CRT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패널과 퍼넬은 유리조성이 다르다. 퍼넬에는 다량의 납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패널에도 바륨 등의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용도 개발은 두 부분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패널유리 분말에 Na2CO3을 첨가하여 발포유리를 개발하는 내용이다.
○ 현재 폐CRT의 수거와 수집은 지자체별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폐CRT를 선별, 분리, 세척 및 파쇄하는 과정은 (주)영창이 유일한 폐기물 처리시설을 가지고 있다. 그간 국내에서도 CRT 유리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수행되었다. 그러나 성공적인 상업화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CRT 유리는 대량으로 소비될 수 있는 분야는 건축재료 분야로 생각된다. 벽돌, 발포유리, 타일 등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도 폐CRT 유리의 재활용에 대한 기술개발과 제도개선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Rasmus R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55(1)
- 잡지명
- Glass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6
- 분석자
- 김*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