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시광선과 자외선 처리에 의한 커큐민의 항종양효과 증폭

전문가 제언

 

커큐민(curcumin)은 생강과에 속하는 강황(Curcumin longa L.)의 지하경에서 분리된 약리활성물질이다. 강황은 항종양과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아시아 전통의학의 치료제로서 수천 년 동안 사용되었다. 커큐민은 세포생장을 저해하고 프로그램 된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래 기초적인 세포생리 기작을 구명하여 커큐민의 항암활성을 밝히려고 많은 노력을 하였다. 그 동안 커큐민은 세포사를 일으키는 생존관련 신호경로를 조정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커큐민의 항종양효과는 많은 종양에서 입증되었다.

 

근래에 커큐민의 광 처리에 따른 항미생물 효과는 많은 연구로 입증되었다. 그 후에 진핵세포 시스템에서 광 조건에서 커큐민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커큐민의 매우 낮은 농도는 UVA 혹은 가시광선 조사와 함께 혼합한 처리는 항종양효과를 충분히 유도하였다.

 

저농도 커큐민을 UVA 혹은 가시광선과 혼합처리는 활성산소종 발생보다 다른 기작에 의하여 세포자살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커큐민의 증진효과에서 광의 역할과 정확한 화학적 작용기작을 밝히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주된 분자기작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으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불가피하다. 커큐민은 신호분자, 효소 및 담체단백질을 포함하는 많은 다른 단백질에 직접적으로 결합된다.

 

커큐민의 낮은 생물적용성의 어려움은 커큐민과 광 혼합처리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다. 예비임상시험 결과들은 커큐민과 광에 기초한 임상치료 개념의 전개 시작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광 의존 커큐민 효과의 물리화학적 기작을 밝히기 위하여 더 진전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생약자원 추출물 중 유망한 약리활성물질을 선발하여 생물적용성이 낮아 개발을 포기할 단계에 있는 소재를 대상으로 자외선A 혹은 가시광선의 혼합처리에 의하여 효능을 증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Bernd, 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3()
잡지명
Phytochemistr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3~189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