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유도 호르메시스와 절지해충 관리
- 전문가 제언
-
○ 진드기, 거미 등 절지해충종 방제를 위해 사용하는 살충제와 관련하여 살충제 저항이나 부활 및 2차 해충발생과 같은 생태학적 반발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특히 부활과 2차 해충발생은 곤충학과 진드기학에서의 살충제 유도 hormesis 현상을 야기하여 크게 주목받고 있다.
○ 호르메시스는 살충제와 같은 스트레스 원인물질의 저고용량 간의 반전된 반응특성을 보이는 이상성(二相性) 용량반응으로 기술하고 있다. 살충제 유도 호르메스시 개념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의미론적 혼란주제로 인식되어 왔지만 수많은 절지해충종과 천적에서 해충발생 및 살충제 저항성과 관련된 문제점이 발표되고 있다.
○ 농촌진흥청에서는 호르메시스를 독물이 무해농도에서 생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유익한 결과를 초래할 때 호르메시스 효과라고 한다. 우리나라 속담에 비상(砒?)도 약이 된다는 말이 있지만 농약 특히 살충제를 이용한 해충발생이나 저항성과 관련된 최근의 호르메시스 연구사례는 아직까지 발표된 바 없다.
○ 곤충학과 진드기학에서 호르메시스 연구는 거의 무시되어 왔지만 절지해충의 살충제 유도 호르메시스 개념에 대한 시험에서 기능적인 기반과 잠재된 적응결과 및 절지해충 관리에서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특히 살충제 저항성 진화나 유해해충의 재발과 같은 문제점에는 호르메시스 현상이 연루될 가능성이 있어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R.N.C. Guede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70()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90~697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