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발효 유제품의 기능화를 위한 우유 단백질의 생리활성 펩티드 생산기술

전문가 제언

식이단백질은 인체 영양의 근본적인 요소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서열에 코딩된 생리활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추가기능도 가지고 있다. 생리활성 펩티드는 인체의 소화, 심혈관, 면역, 신경계통에서 다양한 기능을 조정하고 사람의 건강, 질병예방 등에 기여한다. 이는 우유, 육류, 어류, 계란 같은 동물성 단백질과 대두, 밀, 쌀 및 기타 곡류 같은 식물성 단백질에 포함되어 있다. 본 분석물이 근거로 한 원문은 우유 단백질에서 얻은 생리활성 펩티드의 생산기술을 리뷰하였다.

생리활성 펩티드는 전구 단백질에서부터 몇몇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다. 첫째는 소화효소에 의한 가수분해이다. 이는 인체에서 음식 섭취 후 소화과정에서 자연히 일어날 수 있고, in vitro에서 정제된 소화효소에 의해서 일어날 수도 있다. 둘째는 단백질분해 시동 배양의 발효과정에서 얻을 수 있다. 셋째는 미생물- 또는 식물-유래 단백질분해효소의 작용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원문 리뷰는 유산균 또는 식품등급 효소를 이용하여 발효유제품에 있는 우유 단백질에서 생리활성 펩티드를 얻는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근래 식품과학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발효유제품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우유 단백질로부터의 새로운 생리활성 펩티드와 이들의 인체 생리적 기능에 대한 지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기능적 식품에 대한 지식의 진전은 고혈압, 2형 당뇨병, 비만 및 대사증후군 등 현재 만연하고 있는 질병에 대한 예방과 관리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다양한 식품기질 중에 발효유제품이 중요하게 인식되어 있는 이유는 이들이 많은 소비자들에게 이용되고 있으며, 또 이들이 적절한 영양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연구기관 및 대학의 기능식품에 대한 연구 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생명공학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등과 풀무원, 오뚜기, 한국야쿠르트 및 전북대 바이오식품 연구센터 등 여러 대학에서 폭 넓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정부도 2016년까지 생명공학시장 규모를 60조 규모로 확대시킬 계획을 수립하였다.

저자
Hafeez, Z,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63()
잡지명
Food Research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1~80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