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면역조절제의 잠재적 재료인 식물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식물유래 천연 면역조절제에 관련된 모든 문헌에 있는 증거에 대해 효과를 조명하고 덧붙여 식물과 면역조절에 관련된 식물구성성분(phytoconstituents)의 여러 가지 양상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다. 화학적 면역조절제의 효과와 이용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면역조절에 관련된 기작을 밝히는데 초점을 맞춘 다양한 식물기반 면역조절에 관련된 생물학적 스크리닝 방법도 토론하고 있다. 특히 인도의 힌두교의 의술인 Ayurveda에 언급된 약초를 바탕으로 천연 식물 추출물의 면역조절기능 및 다른 질병 치료약으로서의 기능을 논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천연식물을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약재로서 또 건강보조재로서 널리 이용해왔으며 동의보감의 편찬을 통해 집대성한 바 있다. 현재 일부 식물의 추출물로서 생약의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약성분을 이용한 신약개발이 활발하다. 그러나 천연재료의 작용기작이나 약리학적 연구 특히 면역조절제기능이나 기작에 관해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미국 국립보건원에서는 동의보감에 나오는 거의 모든 천연약제에 대한 스크린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른 의약 선진국에서도 면역조절제에 대한 연구와 천연식물유래 신약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 최근에 점증하는 면역조절에 대한 관심과 예방효과를 얻기 위해 식물의 면역조절 특성이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전통약으로 알려진 몇 가지 식물은 병원균에 직접 작용하거나 감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식물이 가지고 있는 방어기작을 자극하여 개선된 치료약이나 면역조절제의 개발이 연구되고 있다.
○ 면역시스템은 동물을 병원성 미생물과 암과 관련된 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진화된 광범위한 방어시스템이다. 그리고 아주 다양한 세포와 분자들을 만들어내어 사실상 무제한의 외부 침입자를 인지하고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들 세포와 분자들은 동적인 신경시스템의 네트워크와 견줄 수 있을 정도의 네트워크를 이루어 활동하고 있다.
- 저자
- Shruti Shukl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3()
- 잡지명
- Review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7~33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