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산업의 모듈화 기술동향

전문가 제언

최근 자동차 업체는 플랫폼의 대안으로 모듈화를 통해 독립적이고 개성 있는 차량을 생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자동차 모듈화는 차량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차종과 부품의 혼류 생산이 가능해 비용 효율적인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으며, 한 단계 더 진전된 통합형 아키텍처의 적용에 의한 자동차 생산도 추진되고 있다. 새로운 형태의 기능완결 부품 군을 구성하는 설계형식을 「모듈」로, 기능과 구조관계의 복잡한 결합을 「아키텍처」라고 구분한다.

 

모듈화 전략의 전개과정은 크게 Architecture/Design Rule, 모듈, 차량의 3단계로 구분하여 추진된다. 모듈화의 장점은 부품 통합에 따라 완성차 업체의 라인에서 조립하는 부품이 대폭 감소해 조립 효율의 향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관리 비용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설계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듈화가 되면 기존 라인에 대한 변경이 요구되고, 변경에 따른 투자비용이 초기에 발생하며, 다품종 소량생산이 어려워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모듈화는 유럽의 자동차회사에서 1990년대부터 거론되어 왔으며, 2005년부터 독일의 Volkswagen에서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하여 2012년 2월 MQB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일본의 닛산 자동차는 2013년부터 CMF(Common Module Family) 설계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 중인 차량의 부품 비용을 27%, 개발 비용을 29% 줄였으며, CMF 적용률을 2013년 전체 자동차 생산 대수의 12%에서 2016년에는 58%로 높일 방침이다.

 

국내 자동차산업은 유럽과는 전혀 다른 산업구조나 능력, 여건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개성을 살린 생산, 거래방식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3대 핵심모듈인 섀시 모듈, 운전석 모듈, 프론트 엔드모듈을 생산해 완성차에 공급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는 Module Supplier와의 주도권에 대한 방어수단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급격히 변화하는 글로벌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독자적인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Takahiro Fujimot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68(6)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7~33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