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ET/MRI 시스템 개발

전문가 제언

Nagoya대학의 S. Yamamoto 그룹은 값싸고 효율적인 1㎥ 소형의 PET/MRI시스템을 개발하여 소동물 영상을 얻는 데 성공하였다. MRI요크 뒤 자장이 약한 곳에 광전자증배관을 배치하고 PET용 방사선 형광체로는 발광감쇄시간이 서로 다른 LGSO형광체를 사용하여 깊이 방향의 위치판별력을 키웠다. 형광체와 광센서를 길이 1m의 광섬유로 광센서를 연결하는 간소한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다.

 

이 보고서는 이들이 개발한 PET/MRI시스템의 개발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전개된 1997년 이후의 PET/MRI 개발역사를 약술하고 있어 PET/MRI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응용범위가 넓을 것으로 전망되는 간소한 PET/MRI시스템분야는 중소기업이 활약할 수 있는 유망분야라고 생각된다. 광전자증배관은 대량생산되고 있어 값싸게 도입할 수 있다. 회로시스템도 비교적 단순하다.

 

MRI기술은 생체분자조직 연상에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고 연료전지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고체고분자 연료전지 전해질 막 내 수분거동 등에 널리 사용되는 등 새로운 이용분야 확장이 전망되는 유망한 기술이다. 최근에는 공간분해능이 5㎛이 되는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다.

 

가천대학교 뇌과학연구소의 조장희박사팀은 7.0Tesla의 초고자장 MRI와 고해상도 PET를 조합한 PET/MRI시스템을 개발하여 세포의 분자과학적 및 유전자의 기능과 변화를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뇌의 미세 구조를 함께 볼 수 있게 하여 질병의 조기발견과 인지과학연구에도 활용하고 있다.

 

하버드영상센터와 뇌과학 PET-MRI 퓨전영상시스템과 실시간 수술용 PET/MRI 입체영상시스템 등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세계적인 의료기기기업 Siemens와도 공동연구를 수행하여 지식재산권 5:5 배분을 위한 양해각서를 교환한 바 있다.

저자
S. Yamamot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83(4)
잡지명
應用物理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97~301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