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실란을 이용한 식품과 음료 산업에서의 바이오필름 관리
- 전문가 제언
-
○ 미생물 공학에서 세포 점착은 잠재적 문제가 있지만 귀중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세포 점착은 생물부착, 생산물 오염과 부식을 초래한다. 즉, 발효기와 생물 반응기에 이용되는 세포 점착은 반응기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은 유기 기능 실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하는데, 즉 식품과 음료 산업의 관심을 끌고 있는, 화학성, 성상, 용도, 주요 실험 등이다. 목적은 미생물 점착을 강화하거나 줄이는 유기 실란 적용에 대한 도입과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 본 리뷰와 관련된 국내 연구는 매우 활발하다. 졸겔 공정을 통해 유기 실란을 사용한 PVA의 표면 개질과 코팅 용액의 제조, 메조다공성 MFI 제올라이트의 합성, 유기 실란으로 개질된 보헤마이트 나노입자를 이용한 하드코팅 재료의 제조, 유기 실란 폴리올을 이용한 기능성 실리카 제조, 유기 실란 계면활성제 등 여러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연구되어왔다. 유기 실란에 대한 특허도 많이 등록되었는데, 대부분이 유기 실란 제조방법이다. 그러나 국내 연구는 응용분야에 치우쳐 기초분야에 대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상이한 고체 지지대에 부착하는 유기 실란은 세포생물학과 생체물리학에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미생물점착 방지 등 많은 산업에의 적용 잠재력이 크다. 유기 실란 표면처리는 식품 생산체인 조절은 물론 발효산업의 정밀도 유지에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유기 실란 연구는 식품산업은 물론 다른 공학 분야로의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생각된다.
○ 그러나 식품과 음료수 산업에서의 다양한 적용을 위한 특수 유기 실란이 개발되어야 하고, 식품과 접촉되는 물질에 대한 규제에도 대비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기 실란 제조에 관한 특허가 주종을 이루지만, 분산과 저장 안정성, 절연막 제조, 연속 제조공정 등에 대한 연구도 비교적 활발하여 많은 성과가 도출되고 있다.
- 저자
- Dorota Kregie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40()
- 잡지명
- Food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2~40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