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B2(riboflavin) 생산 유산균의 바이오-강화 두유제조 전략
- 전문가 제언
-
○ Riboflavin(비타민 B2)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생체 내에서 대부분 FMN과 FAD 형태로 존재하며 각종 산화환원 반응을 촉매하는 보조효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사람과 대부분의 동물은 riboflavin을 생체 내에서 합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필수영양원으로 외부에서 공급하여야 한다. 이런 이유로 riboflavin은 의약, 식품 및 사료산업에서 각종 영양제와 치료제, 식품과 사료의 영양 강화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는 점점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 현재 riboflavin은 유기합성법, 반합성법, 미생물에 의한 직접 발효생산방법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미생물 이용 발효생산이 가장 선호되고 있다. Riboflavin 생산 미생물로는 곰팡이(E. ashbyii, A. gossypii, Asp. sojae, A. terreus), 효모(C. famata, C. guilliermodi), 박테리아(B. subtilis, B. megaterium, C. acetobutylicum)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LAB의 riboflavin 생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품에서 분리한 유산균 179균주 중에서 riboflavin 생산균주 L. plantarum CRL 725(700ng/mL)를 선별하고, 다시 roseoflavin 내성균주를 유도하여 riboflavin 최고 생산균주 L. plantarum CRL-725 G 변종(1860ng/mL)을 선발하였다. 이 roseoflavin 내성 변이균주는 초기 두유 riboflavin 양의 6배 이상 증산할 수 있게 되어 두유의 riboflavin 강화 기능성 발효식품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 최근 Russo 등(2014)의 L. fermentum riboflavin 강화 빵, Capozzi 등(2011)의 L. plantarum B2 강화 빵과 파스타, Man 등(2014)의 재조합 B. subtilis RF1과 Dmytruk 등(2014)의 C. famata의 riboflavin 생산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남수완 등(1993)과 심문보 등(1993)의 A. gossypii 변이주, 정희종과 Fields(1987)의 B. megaterium의 riboflavin 생산연구가 있을 뿐 그 이후 미생물 riboflavin 생산연구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앞으로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한 곡류와 두류의 비타민 B2 강화 발효제품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M. Juarez del Valle, J.E. Laino, G. Savoy de Giori, J.G. LeBlanc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62()
- 잡지명
- Food Research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015~1019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