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감압 접착제의 개발을 위한 밀가루 반죽의 접착성에 관한 연구

전문가 제언

밀가루 반죽의 접착성이 이전에 개발된 시료 테스트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여섯 가지 소재들로 만들어진 여섯 개의 시료가 점착성 측정에 사용되었다. 분리의 비에너지는 반죽의 수분 함량과 시료의 소재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최대 ω는 PMMA 시료에서 얻어진 반면에 최소 ω는 SS, PTFE 및 PP 시료에서 얻어졌다. 그 결과는 시료의 표면장력과 부합되었다. 수분 함량은 반죽 유동학의 변화로 인하여 시료의 표면장력보다는 접착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밀가루 반죽 점탄성에서 표면 접촉의 열역학 특성과 반죽 유동학이 논의되었다. 또한 감압접착제를 위하여 개발된 일반적인 모델은 밀가루 반죽의 접착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죽의 접착성에 적합한 측정은 최대 인장강도가 아니고 계면의 단위 면적당 분리 에너지임이 입증되었다.

 

접착제는 일반 가정용에서 토목, 건축, 포장에 이르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그 용도는 광범위하다. 접착되는 소재도 목재, 금속, 고무 등으로 다양하고 최근에는 콘크리트에도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실리콘 점착제가 생산되어 시판되고 있고 수입 실리콘 점착제도 판매되고 있다. 이번 주에 KERI에서 수행된 ‘실리카졸/아크릴 하이브리드 점착제 개발‘ 과제를 통하여 고순도 실리카 졸 합성 및 실란 표면처리 기술’이 발표되었다.

 

감압 접착제는 접착제의 일종으로 점착제라고도 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용제형 접착제는 용제의 가격, 에너지 소비, 환경적 부작용으로 인하여 새로운 접착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근래에 와서 친환경적인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친환경적인 접착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밀가루의 점탄성을 사용하여 환경 친화적인 새로운 감압 접착제를 개발할 수 있다. 그 접착제는 고부가가치의 제품(예: 의료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에 관한 특허의 출원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Dorra Ghorbel and Bernard Launa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64()
잡지명
Food Research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05~313
분석자
현*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